1<보기>의 사회화 기관과 그 특징이 옳게 연결된 것은?
<보기>
ㄱ. 학교 ㄴ. 가정
ㄷ. 또래 집단 ㄹ. 대중 매체
A. 사회화가 시작되는 가장 원초적인 사회화 기관
B. 사춘기에 그 영향력이 더욱 커지는 사회화 기관
C. 시대적인 흐름과 여러 정보를 전달하는 사회화 기관
D.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사회화를 담당하는 사회화 기관
2사회화된 태도나 행동으로 옳지 않은 것은?
3청소년기를 지칭하는 용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4밑줄 친 부분에 들어갈 말로 옳지 않은 것은?
우리는 사회화를 통해 _______________________
5밑줄 친 ‘이것’이 가리키는 것으로 옳은 것은?
현대 사회는 지식이나 기술, 생활 양식 등이 빠르게 변화하고 생겨남에 따라 새로 배워야 할 것들이 많아졌다. 이처럼 각종 교육 기관이나 직장 등에서 성인들이 변화된 새로운 지식이나 기술, 생활 양식 등을 학습하는 것을 ‘이것’이라고 한다.
6다음에 나타난 행위들의 공통적인 의의로 가장 적절한 것은?
․가정에서 의식주 등 기본적인 생활 습관을 익힌다.
․친구들과 놀이를 하며 규칙과 역할을 배우게 된다.
․학교에서 사회생활에 필요한 지식과 기술을 학습한다.
․노인들이 컴퓨터와 인터넷 활용을 위한 교육을 받는다.
7다음은 일생 동안 이루어지는 인간의 사회화 과정을 나타낸 것이다. 인간의 성장 과정 순서대로 바르게 나열한 것은?
(가) 학교에서 지식과 규칙, 규범 등을 익힌다.
(나) 가정에서 가장 기본적인 생활 습관을 학습한다.
(다) 또래 집단과의 놀이를 통해 규칙을 배우면서 사회에 적응하는 기본적인 방법을 습득한다.
(라) 노인 대학, 대중 매체 등을 통해 변화하는 사회에 맞는 새로운 생활 양식을 끊임없이 배워 나간다.
(마) 직장에서 업무에 필요한 지식을 배우며, 다양한 기관을 통해 재취업, 자기 계발 등을 위한 교육을 받는다.
8두 학생의 대화를 통해 알 수 있는 사회적 개념을 쓰고, 이 사회적 개념에 해당하는 사례를 두 가지 쓰시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