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남으로 생긴 중에 벗같이 유신(有信)하랴.
나의 왼 일을 다 이르려 하노매라.
이 몸이 벗님 곧 아니면 사람됨이 쉬울까.
- 정철, ‘훈민가 제 10수’
(나) 굼벵이 매미가 되어 날개 돋쳐 날아올라
높으나 높은 나무 소리는 좋거니와
그 위에 거미줄 있으니 그를 조심하여라
- 작자 미상
1(가)와 (나)의 공통된 갈래적 특징으로 알맞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 (3점)
<보기>
ⓐ 자유로운 형식의 운율을 가진다.
ⓑ 3장 6구의 일정한 형식을 따른다.
ⓒ 지금은 더 이상 창작되지 않는다.
ⓓ 주로 양반들에 의해 창작되고 향유되었다.
ⓔ 고려 중엽에 발생하여 조선시대에 크게 유행하였다.
ⓕ 종장의 첫 음보는 반드시 3음절이라는 형식상 제약을 지닌다
2(가)와 (나) 시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3점)
3다음은 (가)와 관련된 내용이다. 이를 바탕으로 (가)에 대해 설명한 것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3점)
<보기>
‘훈민가’는 조선 선조 때 문신인 정철이 1580년 정월부터 이듬해 3월까지 지은 16수의 연시조이다. 정철은 강원도 관찰사(지금의 도지사)로 있으면서 이 노래를 지었는데, 백성들이 올바른 생활을 할 수 있도록 그 시대의 지배적인 가치관인 유교적 덕목을 지킬 것을 권유하고 있다. 그러나 정철은 사대부들의 가치관을 일방적으로 백성들에게 주입하거나 추상적인 덕목들을 강요하지 않았다. 백성들이 지켜야 할 도리를 전달하기 위해 쉬운 어휘를 사용하여 설득력을 높였다.
4다음 중 (가) 시를 들려주기에 적절한 상황에 있는 사람은? (3점)
5(나)에 드러난 ‘매미’의 행동과 어울리는 사자성어로 알맞은 것은? (4점)
6다음 글을 참고하여 (나)를 오늘날 독자가 볼 수 있게 된 과정에 대한 설명 중 알맞지 않은 것은?
(3점)
<보기>
“청구영언(靑丘永言)‘은 1728년(영조 4년)에 만들어진 책으로, 고려 말엽부터 편찬 당시까지의 시조를 모아 엮은 책이다. ’청구‘는 본래 우리나라를 뜻하는 말이고, ’영언‘은 노래를 뜻한다. 엮은이 김천택은 우리의 노래가 입으로만 전해지다가 없어지는 것을 안타깝게 여겨, 이를 기록으로 남겨 후세에 전하고자 책을 엮었다고 한다.
※[7-10] 다음 글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냇사 애달픈 꿈꾸는 사람
냇사 애달픈 꿈꾸는 사람
밤마다 홀로
눈물로 가는 바위가 있기로
기인 한밤을
눈물로 가는 바위가 있기로
어느날에사
어둡고 아득한 바위에
절로 임과 하늘이 비치리오.
- 박목월, ‘임’
7이 시의 제목은 ‘임’이다. 시의 제목으로 추측해 보 았을 때, 시적 화자가 말하는 ‘애달픈 꿈’의 의미는 무엇일지 서술하시오. (4점)
8이 시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3점)
9 다음 내용을 바탕으로 할 때, 시인이 ‘임’을 통해 표현하고자 했던 생각은 무엇일지 조건에 맞춰 서술하시오. (4점)
<보기>
가위에 눌린 것처럼 억압만 느끼던 절망적인 일제 말기의, 언제 밝을지 모르는 ‘기인 밤’ 같은 시절에 몇 줄의 시를 써 스스로 자기를 달래던 이 ‘애달픈 꿈을 꾸는 사람’. 그것은 가련한 나의 모습이었다.
그리고 ‘밤마다 홀로 바위를 가는’ 것이야말로 이 작품의 초점이다. ‘밤마다’는 낮이 기울고 오는 밤이 아니라 오히려 낮이 없는 영원한 밤─바로 ‘암흑한 시대’ 그것이다. 그 암흑한 시대에 ‘하늘과 임’을 희구하는 꿈을 지님으로써 한결 절망은 짙었고 또한 한결 높이 솟은 절벽같이 느껴지는 그 시대와의 아득한 거리감, 그것이'바위’라는 것이다.
<조건>
⑴ 시인이 처해 있는 상황을 제시할 것
⑵ 시인이 말하고자 한 이 시의 주제를 제시할 것
10이 작품의 시대적 배경이나 작가의 의도를 모르고 읽었을 때와 알고 읽었을 때의 차이점을 서술하시오. (4점)
※[11-13]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그날이 오면 그날이 오며는
삼각산이 일어나 더덩실 춤이라도 추고
한강물이 뒤집혀 용솟음 칠 그날이,
이 목숨이 끊기기 전에 와 주기만 한다면
나는 밤하늘에 날으는 까마귀와 같이
종로(鍾路)의 인경(人磬)을 머리로 드리받아 울리오리다.
두개골은 깨어져 산산조각이 나도
기뻐서 죽사오매 오히려 무슨 한(恨)이 남으오리까.
그날이 와서, 오오 그날이 와서
육조(六曹) 앞 넓은 길을 울며 뛰며 딩굴어도
그래도 넘치는 기쁨에 가슴이 미어질 듯하거든
드는 칼로 이 몸의 가죽이라도 벗겨서
커다란 북을 만들어 들쳐 메고는
여러분의 행렬에 앞장을 서오리다.
우렁찬 그 소리를 한 번이라도 듣기만 하면
그 자리에 거꾸러져도 눈을 감겠소이다.
- 심훈, ‘그날이 오면’
11이 시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3점)
12이 시가 일제 강점기에 지어진 것을 감안했을 때 ‘그날’이 의미하는 것은 무엇인가? (4점)
13다음 표는 이 시를 읽고 난 후의 반응이다. ⓐ에 알맞은 내용을 서술하시오. (4점)
독자의 반응
일제 강점기의 독자 독립이 오기만 한다면 이보다 더 기쁠 수가 없겠지. 나도 그 행렬에 따라서 독립 만세를 외치리라.
현재의 독자 이 시를 읽으니 ⓐ .
14이와 같은 작품을 수용하는 방법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3점)
※[15-17] 다음을 읽고, 물음에 답하시오.
(가) 산버들 골라 꺾어 임에게 보냅니다.
주무시는 창 밖에 심어 두고 보옵소서.
밤비에 새잎 나거든 마치 나 본 듯 여기소서.
- 홍랑
(나) 천만리 머나먼 길에 고운 임 이별하고
내 마음 둘 데 없어 냇가에 앉았으니
저 물도 내 안과 같아서 울며 밤길 가는구나
- 왕방연
(다) 홍랑은 조선 선조 임금 때에 함경도에 살던 기생이다. 어느 날 최경창이 함경도 경성의 북해 평사로 부임해 오면서 이 둘은 인연을 맺게 된다. 그러나 이듬해 봄에 최경창이 한양으로 돌아가게 되자, 그와 헤어지기 싫었던 홍랑은 그를 함경도 영흥까지 배웅하였다. 그리고 최경창과 헤어질 때 그에게 산버들을 전하며 읊은 시조 한 수가 전해져 온다.
(라) 조선 세조 때 사육신을 중심으로 한 단종 복위(復位) 사건이 발각되어, 단종은 노산군으로 강등되어 강원도 영월에 유배되었다. 그 뒤 노산군에게 사약이 내려졌는데, 이 때 그 임무를 맡은 이가 금부도사(禁府都事) 왕방연이었다. 그러나 그는 단종에게 차마 사약을 내밀지 못한 채 괴로워하였고, 당시의 심정을 읊은 시조 한 수가 전해져 온다.
15(가)와 (나) 시를 잘못 파악한 것은? (3점)
16(라)의 내용을 바탕으로 할 때 (나)의 시인이 이 시를 통해 표현하고자 했던 주제는 무엇인가? (3점)
17(가)에서 <보기>의 밑줄 친 단어와 비슷한 역할을 하는 소재를 찾아 쓰시오. (3점)
<보기>
언제 구웠는지 아직도 더운 김이 홱 끼치는 굵은 감자 세 개가 손에 뿌듯이 쥐였다.
“느 집엔 이거 없지?”
하고 생색 있는 큰소리를 하고는 제가 준 것을 남이 알면은 큰일날 테니 여기서 얼른 먹어 버리란다.“느 집엔 이거 없지?”
하고 생색 있는 큰소리를 하고는, 제가 준 것을 남이 알면 큰일 날 테니 여기서 얼른 먹어 버리란다. 그리고 또 하는 소리가
“너, 봄 감자가 맛있단다.”
하고 생색 있는 큰소리를 하고는, 제가 준 것을 남이 알면 큰일 날 테니 여기서 얼른 먹어 버리란다. 그리고 또 하는 소리가
“너, 봄 감자가 맛있단다.”